맨위로가기

테오도시우스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오도시우스 왕조는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백작의 아들 테오도시우스 1세가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면서 시작되었다. 테오도시우스 1세는 로마 제국을 잠시 재통일했으나, 사후 아들들에게 동서로 분할되어 통치되었다. 이 왕조는 발렌티니아누스 왕조와의 혼인으로 연결되었으며, 마지막 서방 황제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 마지막 동방 황제는 테오도시우스 2세였다. 이후 왕조는 결혼을 통해 잠시 이어졌으며, 6세기 말까지 동로마 귀족의 일원으로 남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오도시우스 왕조 - 테오도시우스 1세
    379년부터 395년까지 동로마 황제였던 테오도시우스 1세는 군인 출신으로, 기독교를 국교로 확립하고 고트족 문제를 해결하는 등 로마 제국의 종교적, 군사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테오도시우스 왕조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논쟁 해결을 위해 451년에 소집된 제4차 전례 공의회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 단일 인격이라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하여 두 본성의 불가분리성을 천명했으나, 일부 동방 교회의 거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의 지위 상승으로 기독교 분열과 로마 교황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테오도시우스 왕조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유형로마 제국 황조
통치 기간379년 ~ 457년
수도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라벤나
정부 형태절대 군주제
역사
시작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 발렌스 황제 사망 (378년), 테오도시우스 1세 즉위
종료마르키아누스 사망
주요 인물
서방 황제호노리우스 (395년 ~ 423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 (425년 ~ 455년)
동방 황제테오도시우스 1세 (379년 ~ 395년)
아르카디우스 (395년 ~ 408년)
테오도시우스 2세 (408년 ~ 450년)
마르키아누스 (450년 ~ 457년)
계승
이전발렌티니아누스 왕조 (364년 ~ 455년)
이후레오 왕조 (457년 ~ 518년)
기타
상징테오도시우스 1세의 미소리움 (세 명의 테오도시우스 황제 묘사)
설명아마도 테오도시우스 1세와 그의 아들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일 것임.
지도
395년의 로마 제국
395년의 서로마 제국과 동로마 제국

2. 역사

테오도시우스 왕조의 창시자는 테오도시우스 백작으로 불린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였다. 그는 브리타니아를 대 음모에서 구한 히스파니아 출신 장군이었다. 그의 아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는 379년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었고, 394년부터 395년까지 로마 제국을 잠시 재통일했다. 테오도시우스 1세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딸 갈라와 결혼하여 발렌티니아누스 왕조와 혼인 관계를 맺었다.

테오도시우스 1세 사후, 제국은 그의 두 아들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에게 분할되었다. 아르카디우스는 동로마 제국을, 호노리우스는 서로마 제국을 통치했다. 이 분할은 이전부터 있었지만, 이 시점부터 동서 로마 제국 간의 대립이 심화되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로마 제국이 동서로 완전히 분열된 시점으로 간주한다.

동로마 제국에서는 테오도시우스 2세가 사망한 450년까지 테오도시우스 왕조가 이어졌다. 테오도시우스 2세의 사위인 마르키아누스까지 포함하면 457년까지 이어진다. 서로마 제국에서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사망한 455년에 왕조가 끝났다.[1] 이후 동서 양쪽에서 왕조는 결혼을 통해서만 잠시 이어졌다. 마르키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 2세의 누나인 풀케리아와 결혼하여 황제가 되었고, 테오도시우스 2세의 딸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는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와 결혼했으며, 올리브리우스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딸인 플라키디아와 결혼했다. 안테미우스 역시 마르키아누스의 사위였기 때문에 때때로 왕조에 포함되기도 한다. 왕조의 후손들은 6세기 말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동로마 귀족의 일원으로 남아 있었다.

2. 1. 테오도시우스 1세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는 379년부터 395년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며, 유제니우스를 물리치고 394년부터 395년까지 로마 제국을 잠시 재통일했다. 테오도시우스 백작으로 불리는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의 아들인 그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딸인 갈라와 결혼하여 발렌티니아누스 왕조와 혼인으로 연결되었다.

폴레미우스 실비우스에 따르면, 테오도시우스 대제는 347년 1월 11일 또는 346년에 태어났다.[1] ''카이사르의 요약''은 그의 출생지를 히스파니아의 카우카(코카, 세고비아)로 기록하고 있다.[1]

366년, 테오도시우스 장군은 갈리아에서 알라만니족을 격파했고, 패배한 포로들은 포 계곡으로 재정착되었다.[2][3] 368년부터 369년에는 ''기병대장'' 테오도시우스 장군과 그의 아들 테오도시우스가 대 음모로부터 로마령 브리타니아를 지켜냈다.[2][3][1] 테오도시우스 장군은 369년 ''기병대장''이 되었고, 375년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1]

373년 또는 374년에 ''기병대장'' 테오도시우스의 아들은 모에시아 프리마 속주의 ''두크스''가 되었다.[1] 그의 아버지가 몰락하자, 모에시아 프리마의 ''두크스'' 테오도시우스는 이베리아 반도의 영지로 은퇴하여 376년에 아엘리아 플라킬라와 결혼했다.[1] 이후 378년까지 다뉴브 전선으로 돌아와 ''기병대장''으로 임명되었다.[1]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그의 궁정에서 즉위하여, 프로스퀴네시스를 수행하는 야만족들로부터 조공을 받는 모습(테오도시우스 오벨리스크 받침대에 새겨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히포드롬의 부조))


379년 1월 19일, 테오도시우스 1세는 시르미움에서 동부 속주에 대한 아우구스투스로 임명되었다.[1][4] 그의 아내 아일리아 플라킬라는 이에 따라 아우구스타로 격상되었다.[1] 380년 2월 27일, 테오도시우스는 테살로니카 칙령을 발표하여 니케아 신조를 로마 제국국교로 삼았다.[1]

381년 5월 중순, 테오도시우스는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소집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7월 9일에 종료되었다.[1]

아르카디우스의 기둥 그림, 콘스탄티노폴리스, 람베르트 드 보스 작품 추정 (캠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ms. O.17.2)


383년 초, 마그누스 막시무스가 브리타니아에서 아우구스투스로 선포되었다.[1] 같은 해 8월 25일, 마그누스 막시무스의 마기스테르 에퀴텀인 안드라가티우스에 의해 리옹에서 그라티아누스는 살해되었다.[4]

호노리우스 흉상, 부르겐란트 주립 박물관, 아이젠슈타트


384년 여름, 테오도시우스는 북부 이탈리아에서 공동 아우구스투스인 발렌티니아누스 2세를 만났다.[6][1] 테오도시우스는 발렌티니아누스와 마그누스 막시무스 사이에 수년간 지속될 평화 협정을 중재했다.[7]

386년 이전, 아르카디우스, 호노리우스, 풀케리아의 어머니이자 테오도시우스의 첫 번째 아내인 아일리아 플라킬라가 사망했다.[1]

387년에 아르메니아는 아킬리세네의 평화로 알려진 평화 조약에 의해 로마와 페르시아로 분할되었다.[1]

388년 여름, 테오도시우스는 발렌티니아누스를 위해 마그누스 막시무스로부터 이탈리아를 회복했고, 8월 28일 마그누스 막시무스는 테오도시우스에 의해 처형되었다.[1]

테오도시우스는 388년 10월 유프라테스 강변의 칼리니키움 (라카)에서 일어난 유대인 박해에 대해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시우스와 갈등을 겪었다.[1]

390년 봄(아마 4월), 테살로니키 학살이 테오도시우스의 군대에 의해 자행되었고, 이는 암브로시우스와의 대립으로 이어졌다.[1] 암브로시우스는 황제에게 학살에 대한 참회를 요구했다.[1]

392년 5월 15일, 발렌티니아누스 2세는 갈리아의 비엔나 (비엔)에서 자살 또는 아르보가스트의 음모로 사망했다.[6] 테오도시우스는 그 후 단독 성인 황제가 되었으며, 그의 아들 아르카디우스와 함께 통치했다. 8월 22일, 마기스테르 밀리툼 아르보가스트의 요청에 따라 마기스테르 스크리니이자 비르 클라리시무스인 에우게니우스가 리옹에서 아우구스투스로 추대되었다.[1] 같은 해 11월 8일, 모든 신에 대한 종교 숭배가 테오도시우스에 의해 금지되었다.[1]

폴레미우스 실비우스에 따르면, 테오도시우스는 393년 1월 23일 그의 둘째 아들 호노리우스를 아우구스투스로 격상시켰다.[1]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에 따르면, 테오도시우스는 394년 9월 6일 프리지두스 전투에서 에우게니우스를 격파했고, 9월 8일 아르보가스트는 자살했다.[1]

''콘술라리아 콘스탄티노폴리타나''에 따르면, 테오도시우스는 395년 1월 17일 밀라노에서 사망했다.[1]

2. 2. 제국의 분열과 동서 로마

395년 테오도시우스 1세가 사망하면서, 제국은 그의 두 아들인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에게 분할되었다. 아르카디우스는 동로마 제국을, 호노리우스는 서로마 제국을 통치하게 되었다.[1] 이 분할은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이 시점부터 동서 로마 제국 간의 대립이 심화되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로마 제국이 동서로 완전히 분열된 시점으로 간주한다.

동로마 제국에서는 테오도시우스 왕조가 450년 테오도시우스 2세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테오도시우스 2세의 사위인 마르키아누스까지 포함하면 457년까지 이어진다. 서로마 제국에서는 455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죽음과 함께 왕조가 끝났다.[1]

테오도시우스 1세는 서방 정제 그라티아누스에 의해 공동 황제로 동방 정제로 선택되었지만, 그라티아누스 사후에는 점차 서방 정제를 괴뢰화하여 로마 제국의 동서 영역을 실질적으로 단독 지배했다.

2. 3. 테오도시우스 2세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

테오도시우스 1세의 사후, 그의 두 아들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가 각각 동로마 제국과 서로마 제국을 통치했다.[1] 발렌티니아누스 1세와 그의 두 번째 아내 유스티나의 딸인 갈라 플라키디아는 392년 또는 393년에 태어났다.[1] 그녀는 414년에 서고트족 왕인 아타울프와 결혼했으나, 아타울프가 곧 사망하자 417년에 귀족 콘스탄티우스(후에 콘스탄티우스 3세)와 재혼했다.[1] 이들 사이에서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태어났다.[9]

421년, 콘스탄티우스 3세는 호노리우스에 의해 공동 황제(아우구스투스)로 승격되었고, 갈라 플라키디아는 아우구스타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콘스탄티우스 3세는 같은 해에 사망했고, 갈라 플라키디아는 콘스탄티노플로 피신했다.[9]

갈라 플라키디아의 ''솔리두스''


황실 결혼을 기념하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솔리두스''

3. 계보

테오도시우스 1세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딸인 갈라와 결혼하면서 발렌티니아누스 왕조와 혼인으로 연결되었다. 다음은 테오도시우스 왕조의 가계도이다.



다음도 포함되기도 한다.

''이탤릭체''는 아우구스투스와 아우구스타를 나타낸다.

인물
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선조)
마르쿠스 악티우스
율리우스 호노리우스플라비아 악티아와 결혼 / 율리우스 테오도시우스 / 율리우스 에우케리우스
테오도시우스 백작플라비아 테르만티아와 결혼하여 자녀를 낳음:
테오도시우스 1세, 첫 번째로 아일리아 플라킬라와 결혼하고 두 번째로 갈라와 결혼:
테오도시우스 1세아일리아 플라킬라의 결혼
테오도시우스 1세갈라, 발렌티니아누스 1세와 유스티나의 딸의 결혼


4. 문화

참조

[1] 서적 Römische Kaisertabelle: Grundzüge einer römischen Kaiserchronologie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 뉴스 Valentinian I (321–75) https://www.oxfordre[...] 2020-10-24
[3] 서적 Römische Kaisertabelle: Grundzüge einer römischen Kaiserchronologie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4] 서적 Römische Kaisertabelle: Grundzüge einer römischen Kaiserchronologie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5] 뉴스 Gratian (359–83) https://www.oxfordre[...] 2020-10-25
[6] 서적 Römische Kaisertabelle: Grundzüge einer römischen Kaiserchronologie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7] 뉴스 Valentinian II (371–92) https://www.oxfordre[...] 2020-10-25
[8] 간행물 Flacilla https://referencewor[...]
[9] 뉴스 Galla Placidia, Aelia (c. 388–450) https://www.oxfordre[...] 2020-10-24
[10] 문서 By whom, one son, Theodosius
[11] 문서 テオドシウス1世の娘婿・共治帝。
[12] 문서 コンスタンティウス3世の子。ホノリウスの没後、元老院によって擁立された西方帝[[ヨハンネス (西ローマ皇帝)|ヨハンネス]](在位[[423年]] - [[425年]])を倒して即位。
[13] 문서 379年-394年まではウァレンティニアヌス朝の東方帝。
[14] 문서 アルカディウスの娘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